Python - 데이터분석 2
·
Python
2장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기초 통계 계산 1장에서 다룬 데이터 추출을 이용하여 간단한 통계 계산에 대해 다뤄보자. 1장에서 사용한 gapminder.tsv 파일로 통계 계산을 할 것이다. groupby 메소드 가령 연도별 lifeExp열의 평균을 계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데이터를 year열로 그룹화하고 lifeExp 열의 평균을 구하면 된다. print(df.groupby('year')['lifeExp'].mean()) 출력 결과 year 1952 49.057620 1957 51.507401 1962 53.609249 1967 55.678290 1972 57.647386 1977 59.570157 1982 61.533197 1987 63.212613 1992 64.160338 1997 65.014..
Python - 데이터분석 1
·
Python
1장 데이터의 추출 파이썬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은 Doit! 데이터분석을 위한 판다스 입문 이라는 책으로 공부를 할 예정이다. 데이터 분석의 기초 'Pandas' 판다스(Pandas)는 파이썬 데이터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Pandas를 사용하기 위해선 파이참/vscode 등의 파이썬 터미널에 pip install pandas 를 통해 판다스를 설치해주자. 그 후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doit_pandas-master/data/gapminder.tsv', sep='\t') print(df.shape) 이러한 코드를 통해 지정한 데이터 파일을 불러올 수 있으며 3번째 줄의 실행 결과는 (1704, 6) 이다. 1704행 6열의 크기를 가진 데이터임을 ..
Python - 시리즈
·
Python
import pandas as pd seri_1 = pd.Series(["a","b","c","d","e"]) print(type(seri_1)) print(seri_1) 출력 결과 0 a 1 b 2 c 3 d 4 e dtype: object import pandas as pd seri_1 = pd.Series(["a","b","c","d","e"]) print("seri의 타입",type(seri_1)) print("**********************") print(seri_1) print("**********************") print("seri의 0번째 인덱스", seri_1[0]) print("**********************") seri_1[1]="xxx" print("se..
Python - 간단한 함수 예제
·
Python
두 개의 숫자를 입력받아 합/차/곱/나눗셈을 출력하는 print_arithmetic_operation 함수를 작성하라. def print_arithmetic_operation(a, b): print("%d+%d = "%(a,b),a+b) print("%d-%d = "%(a,b),a-b) print("%d*%d = "%(a,b), a * b) print("%d/%d = "%(a,b), a / b) print("%d%%%d = "%(a,b), a % b) print_arithmetic_operation(3, 4) 세 개의 숫자를 입력받아 가장 큰수를 출력하는 print_max 함수를 정의하라. 단 if 문을 사용해서 수를 비교하라. def print_max(a,b,c): if a>b and a>c: prin..
Python - 프로그램의 입출력
·
Python
def 함수명(매개변수) ... return 리턴 값 의 기본형식을 가진다. 바로 실습해보자 def sum만으로는 함수가 동작하지 않는다 고로 아래와 같이 호출을 통해 사용해야한다. def sum(a,b): result = a+b return result print(sum(1,5)) 출력 결과 6 sum함수는 매개변수 a, b를 입력받으므로 입력 받은 1,5는 result = 1+5 result = 6 함수의 종료와 동시에 반환 되는 값은 result이므로 6이 출력 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함수에서 입력 값은 없는데 리턴 값이 있을수도 있고 여러가지 경우가 가능하니 그걸 생각하면서 함수를 만들어 쓰자 가령, 이러한 함수가 있다고 하자 def hello(): return 'hello~' 이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