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 제어문
·
Python
**Python에서는 특히 들여쓰기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시작하자! 먼저 조건문에 대해서 알아보자. money = True if money: print("택시 타") else: print("걸어가") 출력 결과 택시 타 money가 True 값을 가지면 "택시 타"를 출력하고 그 외의 경우 (False)는 "걸어 가"를 출력을 하는 조건문이다. 첫번째 줄에서 money=True를 선언해주었기에 당연히 if조건은 참이 되고 "택시 타"가 출력이 되는 원리이다. 저렇게 변수가 올 수도 있지만 비교연산자를 통해 boolean 출력 값을 가지는 식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C - 연산자 (tistory.com) C - 연산자 1. 산술연산자 int a = 20; int b = 3; printf("a+b = %..
Python -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
Python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 a=3 a라는 변수에 3을 대입을 했다고 가정하자 3이라는 값을 가지는 정수 자료형(객체)는 자동으로 메모리에 생성이 되고 변수 a는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가리키는 레퍼런스라고 칭한다 a라는 변수는 3이라는 정수형 객체를 가리키고 있다. 객체이기에 메소드를 통해 함수화를 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https://pythontutor.com/ Python Tutor - Visualize Python, Java, C, C++, JavaScript, TypeScript, and Ruby code execution VISUALIZE CODE EXECUTION Learn Python, Java, C, C++, JavaScript, and Ruby Pyth..
Python - boolean
·
Python
boolean 자료형은 참(True) 아니면 거짓(False) 값을 가진다. 간단히 확인 해보자 a = True print(type(a)) 출력 결과 문자열 자료형인데 안에 값이 있다면 참, 없다면 거짓으로 판단한다.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도 마찬가지이며 숫자 1은 참 0은 거짓 None도 거짓이다. 간단한 예제로 살펴보면 a = "Hello" if a: print(a) 출력 결과 Hello a안에 문자열이 존재하기 때문에 if문에서 참이라 판단하고 Hello를 출력한 것이다. while문으로 보면 a = [1,2,3,4] while a: a.pop() print(a) 출력 결과 [1, 2, 3] [1, 2] [1] [] pop함수로 한번 while문이 실행될때 마다 맨 끝 원소를 빼서 결국 어떠한 원..
Python - tuple/dictionary/set
·
Python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다 a=[1,2,3] //리스트 b=(1,2,3) //튜플 둘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리스트는 append, del 등등의 함수로 안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지만 튜플은 변경할 수 없다. 실습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t1 = (1,2,'a','b') del t1[0] 실행 결과 TypeError: 'tuple' object doesn't support item deletion 당연히 안된다.. 추가/수정/삭제 등등 그냥 초기값에서 변화를 줄 순 없다 하지만 인덱싱 슬라이싱과 더하기 곱하기 등등 값을 보는 것은 가능하다. t1 = (1,2,'a','b') t2 = (3,4) print(t1 + t2) 출력 결과 (1, 2, 'a', 'b', 3, 4) t1 t2를 더한 새로운 값을 만든거..
Python - 리스트
·
Python
파이썬에서는 다른 언어의 배열과 비슷한 리스트라는 자료형이 있다. 배열은 같은 자료형의 데이터만 담을 수 있었지만 리스트는 상관이 없다. a = ["한국","북한", "일본"] print(a) print(a[1]) print(a[:1]) print(a[0:]) 출력 결과 ['한국', '북한', '일본'] 북한 ['한국'] ['한국', '북한', '일본'] 리스트에서도 인덱스의 개념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가자. 리스트안에 리스트->리스트->리스트-> 처럼 다차원 배열 형식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a = ["한국","북한", "일본",["서울", "울산", "부산"]] print(a[3][1]) 출력 결과 울산 리스트의 인덱싱 연산에 대해 알아보자 a = ["한국","북한", "일본",["서울", "울산", "부..